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물리적 형태에 따른 금융자산의 이해

by yaomi 2024. 7. 6.

금융상품의 의의 

금융상품(financial instrumenls)이란 ' 거래 당사자 어느 한쪽에게는 금융자산이 생기게 하고 거래 상대방에게 금융부채나 지분 상품이 생기게 하는 모든 계약'을 말한다. (K-IFRS 제1032호 '금융상품: 표시', 문단 11). 예를 들어 A 회사가 B 회사에 자금을 대여해 줬다고 해 보자. 돈을 빌린 B 회사는 '차입금'이라는 금융부채(financial liabilities)를 인식하며, 돈을 빌려준 A회는 '대여금'이라는 금융자산(financial assets)을 인식하게 되므로, 이 거래는 금융상품의 정의를 만족시킨다. 즉, 금융상품의 구매자는 금융자산을 보유하게 되며, 금융상품의 발행자 또는 판매자는 금융부채를 기록하게 된다. 

 

금융자산의 분류

한국채택국제회계준에 따르면 금융자산은 크게 현금및현금성자산, 거래 상대방으로부터 현금 등의 금융자산을 수취할 계약상의 권리(채권), 기업 자신의 지분 상품 및 다른 기업의 지분 상품(주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금융자산을 물리적 형태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물리적 형태에 따른 금융자산의 분류]

1. 현금및현금성자산

2. 대여금 및 수취채권

3. 증권형 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첫 번때 유형인 현금및현금성자산(cash and cash equivalents)의 현금은 모든 재무제계정의 측정과 보고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 모든 계정은 현금으로 환산되어 금액으로 표시된다. 

회계상의 현금에는 지폐, 동전 등 통화(currrency)뿐만 아니라 통화와 마찬가지로 통용될 수 있는 통화대용증권, 경화도 포함된다. 통화대용증권에는 자기앞수표, 타인발행의 당좌수표, 가계수표, 송금수표, 우편환증서, 만기가 된 공사채의 이자표, 기한이 도래한 약속어음, 환어음, 관청의 지급통지서,  이익배당이 결정된 주식의 배당권 등이 있다. 이들은 언제든지 통화로 바꿀 수 있어 현금으로 취급된다. 

현금은 보유현금( cash on hand)과 요구불예금(cash and cash equivalents)의 두가지로 구성된다. 재무상태표에는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보고되는데, 현금성자산은 유동성이 매우 높은 자산으로서 확정된 금액의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가치변동의 위험이 경미한 자산이다. 예로는 만기일이 단기에 도래하는(취득일로부터 만기일이 3개월 이내인 경우)투자자산이 있다.

 

대여금 및 수취채권

두번째 유형은 대여금 및 수취채권(loans and receivables)으로, 수취할 금액이 확정되고 활성시장에서 가격이 공시되지 않는 '비증권형'금융자산을 의미한다. 수취채권이란 타인에게 화폐, 재화, 용역을 제공한 대가로 수취 또는 청구할 수 있는 계약상의 권리이다. K-IFRS에서는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을 재무상태표에 나타나는 항목으로 표시하로독 하고 있다. 또한 채권은 일반상거래 채권, 특수관계자 채권, 선급금과 기타금액으로 세분화하도록 하고 있다. 대여금 및 수취채권의 예로는 외상매출금, 받을어음, 대여금, 미수금 등이 있다. 각각 외상매입금,지급어음, 차입금과 대응되는 개념으로 외상매출금과 대여금, 미수금 등 기타 채권이 있다.

 

증권형 금융자산

마지막 유형은 유가 증권 형태의 주식과 채권으로 활성시장에서 가격이 공시되는 증권형 금융자산이다. 기업은 유휴자금을 이용하여 이익을 얻으려고, 또는 타기업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지배할 목적으로 타기업의 주식이나 채권과 같은 유가증권(securities)을 구입한다. 유가증권은 대표적인 금융상품으로 거래 당사자 간에 한쪽에는 금융자산을 상대편에게는 금융부채나 지분상품을 방생시킨다. 따라서 금융상품의 구매자는 금융자산을 보유하게 되며, 금융상품의 발행자 혹은 판매자는 금융부채를 갖게 된다. 취득한 유가증권은 편가 및 재무제표에 보고할 목적으로 단기매매금융자산, 만기보유금융자산, 매도가능금융자산으로 분류된다.